본문 바로가기

이야기

손자병법 5편 6편 (기세로 싸워라+강점으로 허점을 공격하라)

반응형

 

   5편 병세   

-기세로 싸워라.

 

손자가 말했다.

대규모 병력을 소규모 병력처럼
지휘하듯이 하려면

 

분수(分數), 즉 잘 정비되고 나누어진
부대 조직에 의해서 가능하다.

대규모 병력으로 싸우기를 마치
소규모 병력으로 싸우듯이 하려면

 

형명(刑名), 즉 효율적인 지휘 체계에
의해서 가능하다.

전군을 통솔 중 적의 기습공격을
당하더라도 패배하지 않는 것은

 

기정(奇正), 즉 변칙과 원칙을 조화롭게
운용함에 의해서 가능하다.

군대가 적을 공격할 때 마치 숫돌로
계란을 치듯이 할 수 있는 것은

 

허실(虛實), 즉 적의 허점과 충실함을 적절히
파악하여 운용함에 의해 가능하다.


+

삼국지 최고의 전략가이자

촉한의 재상 재갈량은

 

군대 통제의 중요성에 대해

이렇게 말하였습니다.

 

제갈량
"잘 통제된 군대는 무능한 장수가
지휘하더라도 적에게 패하지 않지만"

 

제갈량
"통제되지 않는 군대는 설사 유능한
장수가 지휘하더라도 적을 이길 수 없다"


무릇 전쟁을 하는 자는 정(正, 원칙)으로
적에 대항하고 기(奇, 변칙)로 승리한다.

그러므로 변칙을 잘 운용하는 자는
그 전술이 하늘과 땅처럼 무궁하고

강과 바다처럼
마르지 않는다.

끝난 것 같으면서도
다시 뜨는 해와 달 같고

죽은 것 같으면서도 다시
소생하는 계절의 운행과 같다.

소리는 다섯 가지에 불과하지만 다섯 소리가
서로 섞이면 이루 다 들을 수 없다.

색은 다섯 가지에 불과하지만 다섯 색이
서로 섞이면 이루 다 볼 수 없다.

맛은 다섯 가지에 불과하지만 다섯 맛이
서로 섞이면 이루 다 맛볼 수 없다.

 

전쟁의 형세는 정(正, 원칙)
(奇, 변칙) 두가지에 불과하지만

그 두 가지가 섞이면 이루 다
추측할 수 없다.

기와 정은 서로 상생하는 것은
끝이 없이 순환하는 것과 같으니

누가 그 변화의 끝을
알 수 있겠는가?

 

거센 물이 빠르게 흘러 무거운 돌을
떠내려가게 만드는 것이 세(勢, 기세)이며

 

사나운 새가 빠르게 날아
공격하는 것이 절(節, 절도)이다.

이런 까닭에 전쟁을 잘하는 자는
기세가 맹렬하고 그 절도는 짧다.

 

기세는 마치 활을 잡아당기고 있는 것과
같고 절도는 발사된 화살과 같다.

전투가 혼란해져도 아군은 혼란에
빠지지 않으며

어지럽게 뒤엉켜 있어도 진형이
갖추어져 아군은 패배하지 않는다.

 

혼란스러운 것 같아도 이는
질서에서 비롯된 것이고

 

비겁한 듯 보여도 이는 용감함에서
비롯된 것이고

 

약한 듯 보여도 이는 강인함에서
비롯된 것이다.

질서와 혼란스러움은
부대의 편성에 달려있고

용기와 비겁함은 부대의
기세에 달려있으며

강함과 약함은
진형에 달려있다.

 

그러므로 적을 잘 움직이는 자는 나의
약한 진형을 보여 적이 반드시 쫓아오게 만들고

미끼를 주어 적이 반드시
그 미끼를 취하게 만든다.

 

이익으로 적을 움직이게 만들어서
준비된 병력으로 적을 기다린다.

 

그러므로 전쟁을 잘하는 자는 승리를
(勢,기세)에서 찾고 사람을 탓하지 않는다.

따라서 사람을 선택해 적재적소에
배치하면 나머지는 세에 맡긴다.

 

세에 의지한다는 것은
병사들을 싸우게 할 때

마치 나무와 돌을 굴리듯이
한다는 것이다.

나무와 돌의 성질은 평평한 곳에서는
조용하고 경사진 곳에서는 움직이며

모가 나면 정지하고
둥글면 굴러간다.

그러므로 전쟁을 잘하는 자가 병사들을
잘 싸우게 만드는 세는

마치 둥근 돌을 천길 높은 산에서
굴리는 것과 같으니

 

이것을 세()라고 한다.

 

 

   6편 허실   

-나의 강점으로
적의 허점을 공격하라.

 

손자가 말했다.

무릇 먼저 전쟁터에 가서
적을 기다리는 군대는 편안하고

뒤늦게 전쟁터에 가서
전쟁을 하는 군대는 피로하다.

그러므로 전쟁을 잘하는 자는
적을 내 의도대로 끌고 다니지

적의 의도에
끌려다니지 않는다.

 

적을 나에게 오게 하려면 오는 것이
이익이라고 생각하게 하고

적을 나에게 오지 않게 하려면
오는 것이 손해라고 생각하게 하라.

그러므로 적이 편안하면
피로하게 하고

적이 배부르면 굶주리게 하고
적이 안정되면 움직이게 하라.


+
중일전쟁이 끝나고 국공내전에
돌입한 마오쩌둥은

상대적으로 군사력이 막강했던
국민당의 장제스를 상대할 때

다음과 같은 4가지 전술을
말하였습니다.

 

마오쩌둥
"적이 진격하면 아군은 후퇴한다
적이 주둔하면 아군은 교란시킨다"
적진아퇴(敵進我退), 적주아요(敵駐我擾)

 

마오쩌둥
"적이 피로하면 아군은 공격한다
적이 후퇴하면 아군은 추격한다"
적피아타(敵疲我打), 적퇴아추(敵退我追)


적이 반드시 대응할 곳으로 출병하되
적이 예측하지 못한 곳으로 빠르게 이동하라.

천리 먼 길을 가더라도 아군의 병사가
전혀 힘들지 않은 것은

적이 없는 곳으로
행군하기 때문이다.

 

적을 공격하여 반드시 점령할 수 있는 것은
적이 지킬 수 없는 곳을 공격하기 때문이며

적의 공격을 반드시 막아낼 수 있는 것은
적이 반드시 공격할 곳을 방어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공격을 잘하는 자는 적이
도저히 어디를 지켜야 될지 모르며

방어를 잘하는 자는 적이 도저히
어디를 공격해야 될지 모른다.

미묘하고 미묘하여 형체가 없고
신기하고 신기하여 소리도 없다.

이 정도는 되어야 적의 목숨을
좌우할 수 있는 것이다.

 

내가 진격할 때 적이 막지 못하는 것은
적의 빈 곳으로 진격하기 때문이며

내가 후퇴할 때 적이
추격하지 못하는 것은

빠르게 달아나 적이
따라올 수 없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내가 싸움을 하고자 하면
적이 비록 높은 보루를 쌓고

깊은 도랑을 판다해도 결국 나와
싸울 수 밖에 없는 이유는

적이 반드시 구해야 하는 곳을
공격하기 때문이다.

 

내가 싸움을 하지 않으려 하면
비록 땅에 금을 그어 놓고

이를 방어하더라도 적이
나를 공격하지 못하는 이유는

적군의 방향을 다른 곳으로
돌려놓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상대방의 형세는
밖으로 드러나게 하되

나의 형세는 밖으로 드러나지
않게 한다면

아군은 집중할 수 있지만
적은 분산될 수 밖에 없다.

내가 집중하여 하나가 되고
적은 분산되어 열이 되므로

이는 열의 힘으로 하나의 힘을
공격하는 것이다.

즉 나는 다수고 적은
소수가 된다.

이렇게 다수가 소수를 공격하게 되면
내가 싸워야 할 적은 줄어들게 된다.


+
영국의 저명한 군사학자이자
'간접접근전략'을 창시한

리델하트는 전쟁의 원칙에 대해
이렇게 말하였습니다.

리델 하트(영국 군사학자)
"모든 전쟁의 원칙들은"

 

리델 하트(영국 군사학자)
'약점에 대한 집중' 이라는
하나의 원칙으로 집약될 수 있다"


 

내가 공격하려는 곳을
적이 모르게 해야 한다.

적이 몰라야
지켜야 할 곳이 많아지고

적이 지켜야 할 곳이 많아져야
내가 싸울 적이 적어진다.

그러므로 적이 앞쪽에 집중하여
수비하면 뒤쪽이 적게 되고

뒤쪽에 집중하여 수비하면
앞쪽이 적게 된다.

왼쪽을 집중하여 수비하면
오른쪽이 적게 되고

오른쪽을 집중하여 수비하면
왼쪽이 적게 된다.

 

이렇게 되면 적은 어디든 수비하지
않을 곳이 없게 되어

지키는 병력이 어디든 부족하게 되지
않은 곳이 없게 될 것이다.

적의 병력이 적은 이유는
나를 수비해야 하기 때문이며

나의 병력이 많은 이유는 적으로 하여금
나를 수비하게 만들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싸울 장소와
시간에 대하여 알고 있으면

천리 먼 거리라도 이동하여
싸울 수 있지만

싸울 장소와 시간에 대하여
알지 못한다면

바로 왼쪽에서 오른쪽을 구할 수 없고
바로 오른쪽에서 왼쪽을 구할 수 없게 된다.

바로 앞에서 뒤를 구할 수 없고
바로 뒤에서 앞을 구할 수 없게 된다.

하물며 먼 곳으로는 수십 리, 가까이는
몇 리 떨어진 경우는 말해 무엇 하겠는가?

 

내가 헤아려 보건데 월나라 군대가
비록 많다고 하나

어찌 전쟁의 승패에
도움이 되겠는가?

승리는 만들 수 있는 것이니 적이 비록
많더라도 싸우지 못하게 만들 수 있다.

 

그러므로 계책을 자세히 헤아려
이해득실을 따져 보고
(적을 계산하고 분석-책지 策之)

 

도발을 통하여
적의 반응을 살피고
(도발로 적을 자극-작지 作之)

 

형세를 드러나게 하여 적진이
사지에 있는지 생지에 있는지 파악하고
(적의 형세를 관찰-형지 形之)

 

직접 부딪혀 보아서
적의 남고 부족한 곳을 파악한다.
(소규모 병력으로 적을 공격-각지 角之)

그러므로 군대를 배치하는 형의 극치는
무형의 경지에 이르는 것이다.

무형의 경지가 되면
적의 간첩이

아무리 깊게 침투했다고 하더라도
엿볼 수 없을 것이며

아무리 지혜로운 자라도 계략을
세우지 못할 것이다.

 

적의 형세를 이용하여 병사들 바로
눈앞에 승리를 이끌어내더라도

병사들은 어떻게 이겼는지
알지 못한다.

사람들은 내가 단순히
승리한 모습은 알지만

내가 어떻게 그 승리의 형세를
만들어 내었는지는 모른다.

 

그러므로 한 번 전쟁에서 승리한 방법은
다시 사용하면 안되며

적의 형(形, 형세)에 따라 끊임없이
변화하며 대응해야한다.

 

무릇 용병의 형()
물과 같아야 한다.

물은 높은 곳을 피하여
아래로 흘러내린다.

용병의 형도 적의 강한 곳을 피하고
약한 곳을 공격해야 한다.

물이 지형에 따라 흐름을 만들 듯이
용병도 적의 상황에 따라

승리의 방법을
변화시켜야 한다.

 

그러므로 용병에는 일정한 세(勢, 기세)
없으며 물도 일정한 형상이 없다.

적의 변화에 따라 나를 변화시켜 승리를
쟁취하는 자를 일컬어 신(神)이라고 한다.

그러므로 오행은 상생상극하고
사계절은 순환하며

해는 계절에 따라 길고 짦음이 있고
달은 차고 기움이 있다.



 

반응형